-
폐교, 버려진 공간이 새로운 수익 자산으로
도시 외곽이나 농촌 지역을 걷다 보면 ‘이런 데 학교가 있었네?’ 싶은, 폐교된 건물을 종종 발견하게 된다.
학생 수 감소, 인구 이동 등의 이유로 전국적으로 연간 수십 곳 이상의 학교가 문을 닫고 있는 현실.그런데 최근 몇 년 사이, 이런 ‘버려진 학교 건물’이 창의적 공간 + 임대 수익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.
바로 ‘폐교 리모델링 투자’다.
이 구조는 단순한 리모델링을 넘어
✔️ 지역 재생
✔️ 로컬 콘텐츠
✔️ 공공 유휴 자산 활용
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미래형 부동산 모델로 진화하고 있다.폐교 리모델링의 수익 구조는 어떻게 작동할까?
폐교 건물을 수익형 자산으로 전환하는 방식은 다양하다.
대체로 아래 3가지 구조로 운영된다:✅ 1. 창업 공간 및 임대 수익형
– 폐교를 리모델링해 공유오피스, 카페, 숙소, 공방 등으로 분할 운영
– 지역 창업자나 로컬 크리에이터에게 공간 임대 → 임대료 수익 발생✅ 2. 관광 콘텐츠 + 체험형 숙박
– 교실을 게스트하우스나 키즈 체험 캠핑장으로 전환
– 주말 단위, 성수기 임대 수익 → 운영 수익 + 숙박 수익 결합✅ 3. 공공 협약 기반 위탁 운영
– 지자체나 교육청과 협약 후 장기 임대 계약 + 리모델링 권한 확보
– 초기 투자비는 낮추고, 수익 일부를 공공에 재공유하는 구조이처럼 폐교 리모델링은
단순히 ‘낡은 건물 고쳐 쓰는 일’이 아니라
지역 내 콘텐츠 수요와 임대 수익을 연결하는 복합적 모델이다.실제 사례로 보는 가능성과 수익성
국내에도 폐교 리모델링 성공 사례가 점점 늘고 있다:
🏕️ 전라남도 구례군 ‘섬진강 학교’
– 폐교된 초등학교를 카페 + 게스트하우스 + 전시관으로 변모
– 주말 예약률 90% 이상, 연간 방문객 1만 명 돌파🎨 강원도 홍천 ‘예술학교 프로젝트’
– 학교를 리모델링해 작가 레지던시 + 워크숍 공간 운영
– 일부 교실은 1년 단위 임대 수익 + 전시 대관료 발생🧩 제주 ‘로컬 캠퍼스’ 프로젝트
– 민간 기업이 교육청과 협약 → 폐교를 스타트업 사무실로 전환
– 30명 입주 + 연 임대 수익 8% 이상 실현이런 사례들은 공통적으로
✔️ 기존 부동산 대비 진입 비용이 낮고
✔️ 수익 모델을 창의적으로 설계할 수 있으며
✔️ 공공과 협업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투자자로서도 주목할 만하다.폐교 리모델링 투자 시 체크해야 할 4가지
하지만 아무 폐교나 리모델링해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.
다음 요소들은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:
1️⃣ 입지
→ 외딴 곳보다는 관광객 유입이 가능한 곳, 혹은 소도시 중심부가 유리2️⃣ 리모델링 범위와 법적 제한
→ 문화재 보호구역, 건축 제한 구역 여부 확인 필수
→ 소방법·위생법 등 규제도 사전 검토 필요3️⃣ 공공 협약 조건
→ 장기 임대인지, 매입 가능한지
→ 운영 자유도 및 수익 배분 조건 꼼꼼히 검토4️⃣ 운영 전략
→ 단순 공간 임대보다는 ‘공간 + 콘텐츠 + 경험’을 결합한 운영 전략이 수익률 향상에 핵심이런 조건을 잘 설계하면, 기존 상가나 오피스텔보다 훨씬 차별화되고 창의적인 수익형 자산을 만들 수 있다.
마무리 요약
폐교는 이제 '버려진 공간'이 아니라
새로운 콘텐츠와 수익이 태어나는 플랫폼이 되고 있다.✔️ 초기 비용은 낮고
✔️ 지역 가치와 결합할 수 있으며
✔️ 공공 협업을 통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.‘비어 있는 곳’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는 것.
그것이 바로 폐교 리모델링 투자가 가진 진짜 투자 가치다.'금융 및 투자 전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공 문화 공간에 투자할 수 있을까? 지역예술과 수익의 교차점 (0) 2025.04.09 소극장 공동 투자로 수익 내기: 지역 문화가 돈이 되는 구조 (0) 2025.04.09 도심 유휴 공간, 체험 콘텐츠로 수익화하는 법 (0) 2025.04.08 체험형 공간 투자: 브랜드 팝업부터 전시관까지 (0) 2025.04.08 공항 내 브랜드 체험관, 마케팅이 아닌 투자처다? (0) 2025.04.06 Z세대가 열광하는 팬덤 NFT의 투자 가치 (0) 2025.04.06 프리미엄 공항 서비스 산업, 수익 구조 완전 해부 (0) 2025.04.05 디지털 아이돌, 실존 연예인을 대체할 수 있을까? (0) 2025.04.05